로고

하나님 앞에서 산 사람: 한상동 목사

신사참배 반대 투쟁과 고신대와 복음병원 설립

최재건 | 기사입력 2020/12/23 [08:11]

하나님 앞에서 산 사람: 한상동 목사

신사참배 반대 투쟁과 고신대와 복음병원 설립

최재건 | 입력 : 2020/12/23 [08:11]

하나님 앞에서 산 사람: 한상동 목사

신사참배 반대 투쟁과 고신대학교와 복음병원 설립

 

한상동(韓尙東, 1901-1976) 목사는 하나님 앞에서(Coram Deo) 경건하고 하나님 말씀에 신실한 목회자였다. 부산의 초량교회, 마산의 문창교회, 해방 후에는 평양의 산정현교회와 같은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에서도 목회했다.

한민족 말살 정책이 무섭게 펼쳐지던 일제 말엽 그는 신사참배(神社參拜) 반대투쟁을 주도했다, 그 여파로 투옥되어 5년여간 옥고를 치루었. 해방후에 위로 하나님 앞에 바로선 그는 해방 후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본받아 치유(healing)와 가르침(teaching)에 힘썼다. 복음병원을 세워 치료하고 구제하며 고려신학교를 세워 신학교육과 종합대학으로 발전시키고 신사참배 회개를 주도하여 해방과 전쟁으로 혼란할 때 경건운동을 이끌었다.

 

한상동은 1901730일 경상남도(慶尙南道) 김해군(金海郡) 명지(鳴旨)에서 아버지 한재훈(韓在勳)과 어머니 배봉애(裵奉愛) 사이에서 44녀 중 4째로 태어났다. 부친은 명지에서 염전을 하여 부유한 편이었으나 19048월에 일어난 해일(海溢) 때문에 사업을 접게 되었고 처가의 도움을 받으며 살게 되었다.

어려운 형평 속에서 한상동 목사는 6살이 되던 1907년 다대포(多大浦)에 거주하던 오촌 당숙 한금출(韓今出)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이후 3년간 서당에 다닌 그는 한일합방이 일어난 19109살의 나이로 다대실용학교에 입학하였다. 4학년 때인 1913년 수업시간 때 기다리는 독립이라는 글을 써서 수업시간에 낭독했는데, 때마침 지나가던 일본인 교장 나카무라(中村)에 의해 적발되어 담임이던 김성권 선생이 파면되는 일이 있었다. 그의 독립사상은 김성권 선생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싹이 텄다.

 

한상동은 1916년 다대실용학교를 졸업하고 동래고보(東萊高普)에 입학하였으나 일본 유학에 대한 양아버지와의 마찰로 학업을 중단하고 독학을 하였다. 부모의 권유로 1918년 모교인 다대실용학교의 교사가 되었으며, 20세가 되던 1921531일에 동래군 기장면(機張面) 출신인 김차숙(金次淑)과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안정되어가는 것처럼 보이던 그의 인생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당시로서는 불치의 병인 결핵에 걸렸다. 그 무렵 그는 하나님을 영접하였다. 1924년 다대포에 박창근(朴昌根) 전도사가 와서 초가집에 거주하며 교회당으로 삼아 전도에 나섰는데, 한상동은 박전도사의 권유에 따라 기독교인이 되었다.

시간이 갈수록 믿음이 깊어졌다. 1925년에는 세례를 받았다. 박전도사를 도우면서 그의 건강도 점차 좋아졌지만, 문제가 생겼다. 한상동 목사의 양부모는 결코 아들이 기독교인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으며, 마침내 선생이 끝까지 믿음을 지키려하자 집에서 쫓겨났다. 그가 살던 지역은 유학(儒學)의 기풍이 강했다. 보수적인 색채 역시 여타지역에 비해 높아서 기독교 신자는 핍박을 심하게 받았다. 한상동의 양부모는 목을 매 자살을 기도하기까지 하였고, 선생으로 근무하던 학교에 학부모들이 몰려와 거세게 항의하는 일까지 일어났다. 그는 직장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 문중으로부터 이른바 파양선고’(罷養宣告)까지 받았다.

 

그러나 그는 주 예수를 향한 믿음이 자라 결코 포기할 수 없었다. 오히려 삶의 고난 속에서도 말씀에 대한 사모의 정은 더욱 깊어만 갔다. 고향에서 거주하기 어려워진 그에게 호주장로교선교부에서 도움의 손길을 주었다. 그는 1927년에 진주(晉州) 광림학교(光林學校)의 교사로 부임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목회에 대한 소명의식이 굳어졌다. 그는 1928년 피어선(Pierson, 皮漁善) 고등성경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영양부족에 과로가 겹쳐 결핵이 악화되어 곧 학교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일에 대한 확신으로 가득 찬 는 경남 여전도회의 후원을 받아 전도사로나섰다. 당시 기독교의 비개척지역인 경남 고성군(固城郡) 학림리(鶴林里)로 내려갔다. 그러나 반기독교적인 정서가 너무나 심하여 큰 성과를 내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하나님께 기도하였다. 다시 1929년 경남 하동군(河東郡) 진교리(辰橋里)에 전도인으로 가게 되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새벽기도였다. 그의 눈물의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으로 신실한 신자들이 점차 늘어나는 큰 기쁨을 맛보게 되었다. 시련과 극복을 통해 목회자의 삶에 있어 큰 틀이 형성된 시기였다. 그는 훗날 주님의 사랑에서 다음과 같이 고백하였다.

 

나는 바람소리도, 나뭇잎 소리도 들리지 않으며 도무지 육신의 감각이란 것을 모르고 오직 주님과 이야기하기를 시작하면 그 시간이 한 시간, 혹은 두 시간 혹은 세 시간 동안 괴로운 줄도 모르며, 피곤한 줄도 모르고 기도할 수 있게 되어, 그 기도하는 시간이 나에게 있어서는 말할 수 없이 즐거운 시간이 되어졌다. 전에는 예배당에서 기도할 때에도 사람들이 오고 나가는 것과 다른 사람의 기도하는 소리가 들렸는데 이렇게 기도하는 재미를 본 나는 외계로부터 오는 모든 것에 감각이 없어지고 오직 주님을 향하여 기도하는 데만 정신이 집중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전도가 아니 됨을 나는 하등 염려하지 않았다. 그런데 의외로 신자가 생기기 시작하여 진실한 신자가 차차 많아졌다. 이는 정녕 주님께서 역사하시는 것이 확실하였다.

 

마침내 그는 1933년 평양의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하였다. 바로 이곳에서 평생 신앙의 동역자로 함께한 손양원(孫良源, 1902-1950)을 만났다. 말씀에 입각한 자신의 복음적인 신앙을 신학과 접목할 수도 있었다. 1936년 신학교를 졸업하고 주기철 목사가 담임하고 있던 부산(釜山)의 초량교회(草梁敎會)에 조사(助事)로 부임하였다. 중일전쟁(中日戰爭)이 일어난 19373월 경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곧 마산(馬山) 문창교회의 청빙을 받았다. 이 교회는 함태영(咸台永, 1872-1964), 주기철 목사 등이 시무한 전통 있는 교회였다.

 

한편 일제는 당시 천황(天皇)을 정점으로 하는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을 펴 나가며 민족말살 정책을 펴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근대화를 추진한 인물들은 기독교등 서구 종교에 맞서 서구의 문명은 수용하지만 일본의 정신을 수호하겠다는 이른바 화혼양재’(和魂洋才)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그들은 전통적인 신도(神道)를 국가신도와 교파신도로 구분하였고, 교파신도는 여타의 종교와 같이 취급하였으나 국가신도는 일종의 국민의례라고 강변하며 일본은 물론 식민지 조선에 살던 모든 이들에게 이를 강요하였다.

그러나 국가신도는 천황을 현인신(現人神) 위치로 인정하는 종교적 행위가 분명한 만큼 하나님 만을 믿는 기독교인들에게는 결코 수용할 수 없었다. 문제는 군국주의화 된 일제의 강압의 정도는 창씨개명, 우리말 사용금지 등 박해와 탄압이 극심해졌다. 신사참배를 거부할 시 투옥을 각오해야했다.

이러한 상황은 19368월 미나미(南次郞, 1874-1955) 총독이 부임한 이래 1930년대 후반을 지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그 결과 1938년 평양의 장로회신학교가 폐교되었고 1940년 보수적 복음주의 신학을 견지하던 신학지남이 폐간되었다. 미일전쟁으로 1941년 선교사들은 추방당하게 되었다.

하지만 다수의 목사들은 일제의 압력에 굴복하여 신사참배에 협조하였으며 일제의 강제징병에 협조하였다. 마침내 교회의 종까지 떼어 무기를 만들도록 헌납했다. 일제 말엽에는 4복음서 이외에는 성경으로 인정하지 않는 지경에 이르렀다. 기독교는 지난 2천년 간 신구약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고 선포해 왔는데 4복음을 믿는 신생 이단 종교화의 길을 간 것이었다.

 

19382월 마산에서 열린 시국간담회에서도 신사참배가 강요되었으나 한상동 목사는 결연하게 신사참배를 거부하였다. 그는 같은 해 36‘3대 탄식이라는 제목의 설교에서 하나님이 선의로 창조한 만물을 국가가 악의로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만물이 탄식한다.”고 하여 신사참배를 강하게 비판했다. 결국 한상동 목사는 일경의 강요로 문창교회 담임목사직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는 더 강해졌다.

19398월 말 부산 수영(水營) 바닷가에서 한상동 목사는 윤술용, 이인재, 김현숙, 조수옥, 이정자 등 10여인의 목사 및 교인들과 함께 기도모임을 시작했다. 이는 곧 경남 각지의 신사참배 거부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가 제시한 내용은 신사참배를 하는 교회에는 출석하지 아니할 것, 신사참배 한 목사에게 성례를 받지 말것, 신사참배를 하는 교회에 십일조나 연보를 하지말 것, 교회 출석하지 않는 교인끼리 모여 예배하되 특별히 가정예배를 주로 할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부산과 경남의 각 지역별로 담당자를 선임하여 이를 격려하도록 하였다.

19381024일 부산초량교회(草梁敎會)에서 그는 조선총독부는 정의 및 신의에 위반한 우상인 신사참배를 강요하니 우리는 굴하지 말고 이것에 절대로 참배하지 말자라고 신사참배 반대투쟁을 분명하게 선언 하였다. ‘내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절대 순종을강조했다.

 

이인재(李仁宰주남선(朱南善최상림(崔尙林손명복(孫明復최덕지(崔德支) 등 경남지역 목회자들과 함께 부산·마산·밀양 등지에서 신사참배 거부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신사참배를 하는 교회와 목사에 대해서도 권고하였다. 그는 19391월 마산 문창교회로 부임하였다.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계속하였기 때문에 마산경찰서의 압력으로 19393월 교회를 사임해야 했다. 무임(無任)목사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사참배 거부 투쟁은 계속되었다. 나아가 194011일 한상동 목사, 이인재 전도사, 최덕지(崔德支) 전도사는 마산의 태매시(M. G. Tait, 太梅是) 선교사 집에서 모여 신사참배 한 현 노회는 해체하도록 할 것, 신사참배를 한 목사에게 세례 받지 말 것, 신사불참배주의 신도들만의 새 노회를 조직할 것, 신사불참배 동지의 상호원조를 도모할 것, 신사불참배 그룹 예배의 여행과 동지 획득에 주력할 것 등을 결의하였다.

이에 1940228일 한상동 목사는 이인재 전도사와 신사참배 거부를 전국적으로 확산할 것을 다짐하였고 같은 해 42일 평양을 방문하여 이를 논의하였는데 주기철 목사와는 실시 시간 문제에 있어 인식 차이를 보이게 된다. 즉 주기철 목사는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교회들로 구성되는 새로운 노회에 시기상조의 입장을 보였으나 한상동 목사는 전국적으로 바로 시행되어야 함을 지지하였다. 마침내 19407월 전국적으로 신사참배 거부 운동자들이 검속을 당할 때 그도 체포되었다.

 

194073일 한상동 목사는 경상남도 경찰부 유치장에 투옥되었다가 이듬해인 1941710일 평양형무소로 이감되었다. 한 때 주기철 목사와도 같은 방에 수감되기도 하였다. 한상동 목사는 폐병이 중해져서 병보석을 받아야만 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는 혼자만 자유롭게 나가는 것을 거부하였다. 갖은 고초를 묵묵히 기도로 이겨내며 버티었던 것이다. 심지어 일본 제국주의의 붕괴가 하나님께서 일본을 사랑하는 것이라 확신하고 감옥 속에서 일본을 위해 기도하였다. 이 시기의 특별한 경험에 대해 그는 주님의 사랑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19422월경이었다. 옥중에 있는 나에게는 말할 수 없는 슬픈 소식이 들렸다. 즉 일본이 승리하여 싱가폴을 함락하였다고 하여 형무소 안에서는 만세소리와 의기가 양양하였다. 이제 나는 이 땅에 위에 살 곳이 없다는 생각과 동시에 한국교회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하고 생각할 때에 낙망과 탄식으로 나의 가슴은 터질 듯이 답답하여 견딜 수가 없었다. 견디다 못해 주님 앞에 엎드려서 , 주여, , 주님이시여!” 이 한마디로 그치고 한없이 울었다. , 내가 참으로 한없는 슬픔과 고독 가운데서 나의 가슴이 쓰라린 것은 비할 곳이 없었다.

그 때 비몽사몽이었다. 사람의 시체가 보이며 그 시체에서 벌레가 나오는데 그 벌레 입에서 불이 나오는 것을 보았다. 이 사실은 즉시로 해석되어지는데 시체는 일본이며, 벌레는 일본 군인들이요, 불이 나오는 것은 총질하는 일본 군인들의 전쟁하는 것으로 알게 되었다. 나는 일본을 버리지 아니하시고 전쟁에는 패전하게 하시고 복음으로 구원하시려는 주님의 경륜을 생각할 때에 눈물로 감사하면서 , 주님은 일본을 사랑하시나이다.” 이렇게 기도하였다.

 

투옥 생활 중에서도 그는 비전을 가졌다. 1940년 투옥되자 한국교회가 신사 앞에 굴복한 것은 신학교육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출옥하면 신학교를 세워 신학교육을 바로 해야겠다는 꿈을 갖고 살았다. 꿈의 사람, 비전의 사자였다. 마침내 한 상동 목사가 확신한 것처럼 일제는 1945817일 선생은 풀려나게 되어 출옥성도들과 함께 평양의 산정현교회(山亭峴敎會)에서 봉사하며 920일 재건원칙 5개항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듬해인 19463월 모친의 별세 소식을 듣고 부산에 왔으나 38선이 고착화되는 바람에 다시 돌아가지 못하고 초량교회에서 시무하며, 주남선(朱南善) 목사 등과 함께 부산, 경남지역의 교회재건운동에 앞장서게 되었다.

 

평양장로회신학교의 폐쇄, 남북분단과 신사참배로 인한 순교 등으로 당시 교권은 역설적이지만 신사참배를 용인하였던 이들과 1940년 조선신학교(朝鮮神學校)를 설립한 이들이 쥐고 있었다. 그 중 상당수는 비교적 진보적인 신앙관과 신학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전정통신학과 복음주의 신앙을 표방한 신학교 설립을 꿈꾸어 오던 한상동 목사는 우선 박윤선 목사를 초빙하여 1946 진해에서 공개 신학강좌를 했다. 고려신학교(高麗神學校)의 태동이었다. 함께 감옥살이를 했던 거창의 선비 주남선, 여수 애양원의 손양원 목사가 적극 동조했다. 서울 중심의 한국사회에서 전국적인 이름의 고려(Korea)를 내세우고 하나님 앞에서(Coram Deo)’를 교훈으로 내세웠다. 복음적인 정통적인 경건한 신앙과 신학을 새로운 비전을 새 한국 교회에 제시했다.

 

19466, 서울의 승동교회(勝洞敎會)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 남부총회가 조직 되었지만 지난 행적을 회개하고 교회 재건에 대한 새로운 움직임은 약했다. 쇄신운동의 중심지는 한상동 목사가 속한 경남과 부산이었다. 1945918일 부산진교회(釜山鎭敎會)에서 경남 재건노회가 조직되고 일제하의 잘못에 대한 회개와 교역자들의 2개월간 자숙안이 상정되었다. 그러나 회개는 하나님 앞에서 하는 것이라는 당시 교권을 진 진영에 의해 거부되었다. 1946123일에는 새로 경남노회장으로 선출된 김길창(金吉昌, 1892-1977) 목사가 신사참배문제를 거론하지 못하게 하자 큰 반발이 일어났다. 이에 19471월 경남노회 67개 교회가 한상동 목사를 지지하게 되었고 노회가 모일 때마다 신사참배문제와 자숙안이 문제가 되자 김길창목사를 중심한 일파는 항도교회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경남노회를 소집하였다. 총회의 전권 위원회는 경남 노회의 3분안을 내어 해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 한상동 목사를 지지한 이들은 스스로를 경남(법통)노회라고 하였다. 결국 전란 주에 19515월 부산 중앙교회당에서 모인 제36회 총회는 고신측 총대는 회원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그 반대파를 총대로 인준하여 고려파는 총회에서 축출되었다. 엄주신 장로가 그 와중에서도 고별사를 하고 나왔다.

한상동 목사는 당시 초량교회에서 목회 할 때였다. 총회가 교회 양도를 요구했을 마산의 문창교회처럼 법정 투쟁하지 않고 초량교회 교인의 대다수가 그를 지지하였지만 교회마저 총회에 양도했다. 19511014일 삼일교회를 설립하여 부산 굴지의 교회로 성장시켰다. 은퇴할 때까지 이 교회에서 봉사하였다. 총회에서 축출된 고려신학교측은 경남(법통)노회를 중심으로 1952911일 진주성남교회당에서 총노회를 구성하였는데, 초대 총회장에는 이약신 목사(1898-1957)가 선정되었다. 신사참배의 회개와 2개월간의 교역자 자숙안도 시행되었다.

 

그 와중에서도 그는 신학교육 강화에 힘썼다. 경남노회 분규의 배경에는 고려신학교의 문제가 연결되어있었다. 총회의 인준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고려신학교는 주남선, 손양원, 박윤선 목사 등과 함께 논의하여 1946920일 개교되었는데, 초대 교장으로 만주의 봉천에 체류중이던 박형룡(朴亨龍, 1897-1978) 박사를 초빙하였다. 박형룡박사는 신학교를 4개의 장로회 선교부가 인정받게 하고 위취도 서울로 이전하자고 주장하였으나 반발에 부딪히자 1년 미만에 사직하고 서울로 올라갔다. 문제는 이후 박형룡 박사가 서울에서 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고 고신에 대해 비판적 입장이 되면서 부산, 경남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교회 정화와 재건운동의 입지는 더 약화되었다. 전쟁과 최초의 교회 분열 속에서 도 고려 신학교에서는 1907년의 평양 대 부흥을 연상시키는 뜨거운 기도의 회개운동이 이어졌다. 그 영향은 한국교회의 경건운동으로 나타났다

 

한상동 목사는 19516.25 동란(動亂)의 혼돈 속에서 김일성대학교수 장기려(張起呂, 1911-1995), 서울대학교 의대교수 전종휘박사, 거창의 전영창과 함께 복음병원을 세웠다. 미증유의 대 전란의 와중에서 가난한과 질병으로 고통 받는 빈민들을 무료로 진료하기 위함이었다. 에수 그리스도의 치유 사역의 계승이었다. 1965년에 복음병원은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총회 재단으로 편입되었다. 1970년에는 고신대학 설립인가와 동시에 학교법인 고려학원의 수익기관으로 편입되었다. 현재에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산 경남권의 대표적인 병원으로 자리 잡았고 교단과 학교의 봉사와 사역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59년 예장 총회의 승동파와 연동파의 분열로 승동 측과 고신 측이 합동하여 196012월 예장 합동 측 장로교단이 형성되었다. 그때의 교세는 승동 측이 900교회 고신측이 600여 교회였다. 한상동 목사는 두 번이나 연임하여 총회장에 선출되었으나 고려신학교(현고신대학교)가 서울의 장로회총회신학교와 합동됨으로써 신학교를 설립 이념이 후퇴하고 합동 원칙의 신학교 일원화가 신학교 단일화를 내 세우며 부산의 고려신학교를 폐교토록 결정하자 다시 고려신학교로 환원하였다. 1963년 홍반식·오병세·이근삼 등과 함께 그는 고려신학교의 재건 및 교단 환원운동을 주도하였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분리주의자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환원할 때 고신 측 교회의 3분의1이 합동총회에 잔류했지만 2009년 현재 고신 측은 38개 노회에 1,693개의 교회, 2,863명의 목사들이 참여한 교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고려신학교는 19701230일 문교부로 부터 고려신학대학으로 인가 받게 되었고 한상동 목사는 19712월 초대학장으로 취임하였다. 19741월 은퇴하여 명예 학장으로 추대되어 일선에서 물러날 때까지 신학교 및 교단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현재 이 대학은 의과대학이 있는 종합대학교로 발전하게 되었다.

 

저서로는 주님의 사랑과 설교집인 신앙세계와 천국이 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사는 숭고한 삶을 보여준 한상동 목사는 수많은 업적을 남기고 197616일 노환으로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다. 그의 장례식에는 부산 개항 이래 최대의 장례 인파가 모여 그의 신앙적인 면모에 시민들도 경의를 표했다. 지금은 고인이 된 장기려 박사는 한상동 목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한상동 목사님은 자기의 의사를 죽이고 하나님의 뜻과 총회의 뜻에 순종하는 것으로 일관하셨다. 즉 관대하신 신앙생활로 본을 보여주셨다. 최후에 소화 장애로 음식을 전폐하시고 기도로서 한국교회를 위하시다가 하나님에게 불리워 소천하셨다. 나는 지금도 하나님만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순종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종, 한상동 목사님의 관용의 신앙을 앙모하면서 살고 있다. 하늘에서 고신과 나라를 위해 기도하시는 한상동 목사님을 잠시 생각해 보았다.

 

 

 

 

 

 

  • 도배방지 이미지

한상동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메인사진 없음
역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1/5
인물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