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l
즐겨찾기
l
RSS
l
편집 2021.07.29 [23:07]
전체기사
l
로그인
l
ID/PW 찾기
한국교회사
한국 근현대사
신학
논문
칼럼
교회
인물사
양주삼 총리사
양주삼 총리사는 밴드빌트대학과 예일대학을 졸업하고 감리교의 총리사로봉직하였다. 남북감리교를 하나의 교단으로 통합한 주역이기도 했다. 건국후 적십자사 초대 총재였으나 6.25 때 납북 되었다. ...
...
신유의 부흥사 박재봉 목사
박재봉(朴在奉, 1904-1992) 목사는 해방 전 후 한국 기독교계에서 교파를 초월하여 대표적인 신유의 부흥사로 활동하였다. ...
8.15 은 광복절
8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광복절 공휴일이다. 1945년의 일제로 부터의 해방과, 1948년 자유민주 공화정의 대한민국이 건국된 날이다.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利瑪竇 1552- 1610)는 근대 중국 가톨릭선교의 개척자였다. 그는 당대의 세계적 석학이었고 자는 서태(西泰)였다. 중국에서 태서의 학자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자였다. ...
양주삼 총리사
신유의 부흥사 박재봉 목사
8.15 은 광복절
마테오 리치
주요뉴스
해리 홀트
해리 홀트(Harry Holt, 1905-1964)는 한국전쟁 이 후부터 수많은 버려진 아이들을 위해 헌신했다.뒤에는 홀트 국제아동 복지회로 개명하여 고아들에게 새 삶의 길을 열어 주었다....
한글과 기독교
한글을 공용화 하고 한글날이 제정된 것은 대한민국이 건국 되고 나서였지만 한국 기독교는 선교 초기부터 한글을 공용화했다. 성경, 찬송 간행을 비롯하여 교회당에서 밤에는 한글...
김창길 목사의 아직도 남은길
김창길 목사는 순교하신 부친 김동철 목사의 뒤를 따라 만주에서 토론토를 경유하여 뉴져지 장로교회에서 30년간 이민목회 후 은퇴하였 다. 교단의 총회장도 엮임하였고 예담원을 ...
4대에 걸친ㅍ린튼가의 한국선교
미국의 남장로교 선교부에서 한국에 파송한 선교사들 가운데서 4대에 걸쳐 한국선교사로 봉사안 가정은 린튼가 뿐이다....
알렌
알렌은 한국에 상주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였다. 그는 주한 미국공사관의 공의 자격으로 내한하여 의료 선교사로 일하다가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으로도 봉직했다....
변두리인생
인간의 삶 자체가 하나님 나라를 향해 가는 순례자의 삶이란 사실을 오늘의 현실 속에서 소망을 전하며 살아가는 사람들, 교회, 기구, 단체 국가들의 발자취를 내가 본대로 쫓아가는...
애국자, 교육자, 사업가 남강 이승훈장로
남강 이승훈(南岡 李昇薰)1864-1930)은 기독교 신앙을 가진 사업가요 선각자요 교육자요 애국자였다....
허드슨 테일러 선교사
허드슨 테일러(Hudson J. Taylor, 載德生, 1832-1905)선교사는 근대선교사상 가장 위대한 선교사였다....
한부선 선교사
한부선은 2대에 걸친 내한 선교사 가정의 2세 선교사였다. 그의 부모인 한위렴(William B. Hunt, 1869-1953) 그의 장인은 방위량 (W. Blair)선교사였다....
빛으로 오신 예수와 한국 최초의 전기불
1884년에 조선에 새로운 빛 전기가 도입되었다. 알렌이 직접 도입한 것은 아니었다. 1882년 조미통상조약 체결 다음해인 1883년 미국에 조선정부가 보빙사들을 미국에 파견한 것이 계기...
꿈의 전파자; 마르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목사는 “나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 라는 말을 연상 할 정도로 꿈을 가진 민권운동가였다....
기독교 기업인의 표상: 유일한 박사
유일한(柳一韓, 1895년 1월 15일 ~ 1971년 3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독립운동가로 가장 모범적인 기업인 상을 제시한 기독교인이었다...
한경희 목사
한경희 (韓敬禧, 1981-1035) 목사는 일제 때 만주에서 목회 하다가 공산당에 의해 피살된 순교자였다....
에비슨과 이승만의 일제말 임시정부 승인운동
이승만은 에비슨을 만나 기독교인친한회를 조직했다.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의기투합하여 만든 단체였다...
이력서
2012-현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전문연구원...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란 블로그를 개설케 되었다. 한국근현대사에 큰 변혁을 일으킨 기독교의 역할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순교자 주문모신부
한국 최초의 신부는 초대교회 베드로가 로마를 탈출하다가 돌아와 순교하였듯이 1801년 5월31일 순교했다....
에비슨
43년간에 걸친 에비슨의 한국 활동과 그 영향력은 의료선교사상 그 누구도 이루기 힘든 성과와 업적을 이룬 세계 최고의 의료 선교사였다....
언더우드가의 한국선교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1859.7.19-1916.10.12) 선교사 가문은 4대에 걸쳐 한국에서 선교사로 봉사하며 교육, 의료, 정치 및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한국의 근대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하...
하나님 앞에서 산 사람: 한상동 목사
한상동(韓尙東, 1901-1976) 목사는 하나님 앞에서(Coram Deo) 경건하고 하나님 말씀에 신실한 목회자였다....
언더우드이야기 20
언더우드의 교파를 초월한 포용 정책과 에큐메니컬 정신은 연세대학교와 연세신학의 전통이 되었다.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전통이 창조는 대학발전의 원동력이다....
언더우드이야기 19
언더우드는 1915년 경신학교 대학부란 이름으로 YMCA 건물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마지막 교섭 단계에서 1917년 4월 7일에야 대학령이 없다는 이유로 대학이 아닌 사립 연희전문하교인가...
언더우드이야기 18
언더우드는 1912년 9월 1일 창립된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의 초대 총회장으로 피선되었다...
언더우드이야기 17
언더우드가 한국에서 행한 주된 활동은 교육선교였다. 고아원 설립에서 비롯하여 고등교육 기관 설리의 선구자였다....
언더우드이야기 15
언더우드는 초교파주의자였고 연합운동의 선구자였다. 교회의 일치를 추구하고 YMCA 창립에 앞장서서 에큐메니컬 신학의 터전을 닦았다....
언더우드이야기 16
언더우드는 선교의 문을 젊은이들과 상류층으로 확대하는 데에도 앞장섰다. YMCA를 창립에 앞장서서 청년과 상류층으로 전도의 문을 확장했다....
언더우드이야기 14
언더우드는 고종의 통역 역할 외, 부인 호톤은 왕실의 주치의로 활동하였다...
언더우드이야기 13
‘하나님’을 ‘하늘의 주’에서 ‘유일하신 큰분’으로 바뀌어 이해하게 된 것은 주시경의 영향을 받은 게일 선교사의 공이 컸다. “하나님의 ‘하나님’은 일(一)’을 뜻하고 ‘...
언더우드이야기 12
언더우드는 한국의 출판문화에서도 선구적인 기여를 했다. 그는 문서사역을 매우 중시해 한글의 사용과 연구, 사전과 성경·찬송·전도문서 간행에 힘썼다....
언더우드이야기 11
언더우드는 1890년 자신의 집 사랑방에 성경공부반을 개설했다. 국민일보DB 언더우드는 남달리 뛰어난 선교적 안목과 열정을 가졌던 선교사였다....
포토뉴스
이전
1
/4
다음
많이 본 기사
1
언더우드가의 한국선교
2
허드슨 테일러 선교사
3
기독교 기업인의 표상: 유일한 박사
4
애국자, 교육자, 사업가 남강 이승훈장로
5
4대에 걸친ㅍ린튼가의 한국선교
6
언더우드이야기 17
7
메리 스크랜턴
8
꿈의 전파자; 마르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9
보훈의 달과 6.25 전쟁
10
한국기독교의 영성
섹션별 주요뉴스
한국교회사
네비우스 선교정책
에비슨
언더우드가의 한국선교
언더우드이야기 20
언더우드이야기 19
한국 근현대사
에비슨과 이승만의 일제말 임시정부 승인운동
한국근현대사와 기독교
언더우드이야기 10
신학
한국기독교의 영성
논문